티스토리 뷰
목차

🕵️♂️ 신풍제약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 검찰 '무혐의' 결정의 배경
수백억 원대의 손실 회피 의혹을 샀던 장원준 전 신풍제약 대표와 지주사 송암사가 검찰 수사 결과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서울남부지검은 신풍제약 주식 매도 시점이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실패 정보를 알기 전이었다고 판단하며,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결론 내렸다.
📖 목차
💊 '코로나19 치료제 임상'과 수백억 손실 회피 의혹
신풍제약의 실소유주이자 창업주 2세인 장원준 전 대표는 2021년 4월, 회사의 코로나19 치료제가 2상 임상시험 평가지표를 충족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미리 알고 주식 매도에 나섰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정보가 공개되면 주가 폭락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장 전 대표는 자신과 지주사 송암사가 보유한 주식을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 방식으로 처분해 약 369억 원의 손실을 회피했다는 혐의로 금융위원회로부터 고발당했다.
🔍 검찰의 철저한 수사 과정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는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은 직후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관련자들의 주거지, 신풍제약 본사, 증권사 본사 등 8곳을 압수수색하여 다량의 압수물을 확보했다. 검찰은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업무를 한 연구원, 주식 매매를 중개한 증권사 직원 등을 참고인으로 소환하여 면밀한 조사를 벌였다.
⚖️ '혐의없음'의 핵심 근거: 블록딜 결정 시점
수백억 원에 달하는 손실 회피 규모 때문에 사건 초기에는 혐의가 상당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검찰은 결정적인 증거를 찾아냈다. 검찰은 장 전 대표가 임상 2상 시험 결과를 알기 전에 이미 블록딜 매도를 결정하고 증권사에 매도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했다. 즉, 주식 매도 결정 시점이 미공개 중요 정보 획득 시점보다 앞섰다는 것이다. 이는 자본시장법 위반의 핵심 요건인 '미공개 정보 이용'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판단으로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무혐의 불기소 처분이 내려졌다.
📈 향후 전망과 법률 전문가의 시각
이번 검찰의 무혐의 처분은 관련 법규의 명확한 해석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 법률 전문가들은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미공개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주식 거래를 했다는 인과관계가 명확히 증명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번 사건은 검찰이 정황 증거가 아닌 객관적 증거를 바탕으로 법과 원칙에 따라 판단을 내린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결론: 법과 원칙에 따른 판단의 중요성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던 신풍제약 사건이 '무혐의'로 종결되면서, 법치주의 국가에서 증거와 법리에 따른 판단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었다. 검찰은 억울한 사건 관계인이 없도록 철저히 수사하고 판단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번 결정은 향후 유사한 자본시장법 위반 사건 수사에도 중요한 선례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