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북중 관계 대폭 회복의 신호탄: 중국 권력서열 2위 '리창 총리'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행사 참석
목차
북한과 중국 당국이 7일 동시에 공식 발표를 통해 중국 권력서열 2위인 리창 국무원 총리가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행사 참석차 방북한다고 밝혔습니다. 리 총리는 당 및 정부대표단을 이끌고 9일부터 11일까지 북한을 공식 친선 방문할 예정입니다. 이번 리창 총리의 방북은 지난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행사에 권력서열 5위가 파견되었던 것에 비해 확연히 격이 높아진 것으로 평가되며, 최근 북러 밀착으로 다소 소원해졌던 북중 관계가 대폭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외교적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1. 중국 권력서열 2위, 리창 총리의 전격 방북 결정
리창 국무원 총리는 중국 공산당 내에서 시진핑 국가주석 다음으로 권력서열 2위에 해당하는 핵심 인물입니다. 그의 방북은 북한의 노동당 창건 80주년이라는 중요한 정치적 행사를 맞아 중국이 북한과의 관계를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보여주는 외교적 제스처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리 총리가 북한 정부의 공식 초청에 응해 방북하며, 단순 행사 참석을 넘어 "공식친선방문"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명시했습니다. 중국 외교부 역시 동일한 일정을 공지하며 북한 당정의 초청에 따른 우호 방문임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양국 간의 전통적인 우의와 혈맹 관계를 재확인하고, 최근의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북중 연대를 강화하려는 양국의 공통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2. '격'의 상승이 의미하는 것: 10년 전보다 확연히 높아진 파견 수위
이번 리창 총리의 파견은 과거와 비교했을 때 중국이 북한에 보내는 성의의 수준이 대폭 높아졌음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10년 전인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 중국 대표로 파견된 인물은 류윈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당시 권력 서열 5위였습니다.
이에 비해 권력 서열 2위인 국무원 총리를 대표단장으로 보낸 것은 파견 대표의 격을 세 단계나 끌어올린 것입니다. 이는 시진핑 주석이 직접 방북하지 않더라도, 최고위급 인사를 통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고 북중 관계를 한층 강화하겠다는 중국의 외교적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3. 북중 관계 회복의 배경: 북러 밀착에 대한 중국의 성의 표명
최근 몇 년간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적 밀착이 심화되면서, 전통적인 우방국이었던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소원해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중국은 북러 관계 강화가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과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고려하여 북한을 다시금 자국의 영향권 내로 끌어들이려는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보입니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달 초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행사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초청한 것도 이러한 관계 개선 노력의 일환이었습니다. 이번 리창 총리의 파견은 북한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전략적 동맹 관계를 다지기 위한 중국의 성의를 북한에 전달하는 결정적인 조치로 해석됩니다.
4. 시진핑 주석의 불참과 APEC 정상회의 방한 계획
일각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평양을 방문할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리창 총리가 대표단장으로 파견되었습니다. 시 주석은 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방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중국이 대북 관계뿐만 아니라 대남 관계 및 다자 외교 무대에서도 전략적인 균형을 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 주석은 북한의 국경절 행사에는 최고위급 인사를 보내 전통적인 우의를 강조하고, 곧이어 APEC 회의에 참석함으로써 역내 핵심국가로서의 역할과 대남 관계에도 소홀함이 없음을 보이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5. 최선희 외무상의 방중과 대표단 파견 문제 논의 추정
중국 대표단 파견 문제는 이미 양국 간 사전 논의를 거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난달 말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첫 방중 일정을 소화하며 리창 총리를 직접 만난 것이 그 방증입니다.
당시 양측의 면담에서 노동당 창건 80주년 경축 행사에 보낼 중국 대표단의 격과 규모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북한은 핵심 기념일을 맞아 중국 최고위급 인사의 참석을 요청했고, 중국은 북중 관계 회복의 의지를 담아 서열 2위 총리를 파견하는 것으로 외교적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적 중요성: 리창 총리의 방북은 북한의 대외 고립 완화 및 국제사회에 대한 북중 연대의 과시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향후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